2025. 3. 27. 00:00ㆍ드라마/드라마 정보
디즈니 플러스 마블 드라마 <데어데블: 본 어게인>은 원작 코믹스(만화) 속 뮤즈의 능력을 대폭 변경했습니다.

MCU의 전통을 따라, 마블 드라마 <데어데블: 본 어게인>에서 뮤즈는 원작과 다른 능력을 부여받아서 새롭게 등장합니다.
디즈니 플러스 마블 텔레비전 드라마 <데어데블: 본 어게인>의 시즌 내내 뉴욕 곳곳에는 의문의 그래피티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래피티 즉 벽화에는 독특한 서명이 남겨져 있었는데, 'MUSE'라는 닉네임이 있었습니다. 이것은 마블 빌런 뮤즈의 작품이 명백했습니다. 뮤즈는 마블 드라마 <데어데블: 본 어게인>이 MCU로 편입되어 방영 예정이었을 때 이미 암시된 빌런이지만, 그동안 시즌 대부분에서 제대로 존재를 드러내지 않은 채 그림자 속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이것처럼 서서히 쌓아온 긴장감은 시장이 된 킹핀/윌슨 피스크가 복면을 쓴 자경단원들에 대한 대중의 두려움을 이용해 자신의 정치적 것을 강화하는 과정과 맞물리면서 더욱 고조됩니다. 그러나 6화에서는 마침내 뮤즈가 본격적인 주요 악당으로 떠오르게 됩니다.
여기서 원작 코믹스(만화)를 먼저 접해서 뮤즈를 알고 있는 팬들은 이번 뮤즈 실사화가 원작 코믹스(만화)와 다른 방향으로 캐릭터를 설정하고 해석하고 있음을 알아차릴 수 있을 것입니다. 뮤즈는 2016년 만화 <데어데블 #11>에서 처음 등장한 초인적인 능력을 가진 빌런입니다. 마블 코믹스에서의 뮤즈는 강화된 힘과 속도를 갖춰 데어데블과의 전투에서 압도적인 신체적 우위를 점하는 캐릭터입니다. 그러나 뮤즈의 가장 강력한 능력은 데어데블의 초인적인 감각에 의존한 레이더 센스에 완전히 감지되지 않는 것입니다. 이것으로 인해 맷 머독의 초감각조차 뮤즈를 불 수 없게 되며, 이것은 데어데블에게는 치명적인 상황과 약점으로 작용합니다. 시각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강화된 감각에 의존하는 데어데블에게 뮤즈는 극도로 위험한 상대인 셈입니다.

MCU 버전의 뮤즈는 마블 코믹스 뮤즈엔 있는 초능력을 가지지 않았습니다.
MCU <데어데블: 본 어게인>에서는 뮤즈가 초능력을 가지지 않습니다. 6화에서 데어데블이 뮤즈와 대면했을 때, 뮤즈는 헬스키친의 악마 데어데블과 맞서 싸울 만큼 강한 전투력을 지닌 인물로 묘사됩니다. 그러나 마블 코믹스와 달리 데어데블의 감각에서는 보이지 않는 뮤즈의 능력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MCU 버전의 뮤즈는 핵심적인 범죄 방식을 그대로 유지합니다. 뮤즈는 MCU와 마블 코믹스 모두, 희생자들의 피로 예술 작품의 재료로 사용하며, 이것을 에폭시와 혼합해 벽화를 거의 제거할 수 없도록 만듭니다. 또한 6화에서는 뮤즈의 범죄가 얼마나 끔찍한 규모인지 드러나는데, 뉴욕 전역에 걸친 벽화를 만들기 위해 60명 이상을 살해했다는 사실이 밝혀집니다.
이것처럼 MCU 버전은 초능력을 제거하는 대신 현실적인 방식으로 뮤즈를 표현하는 것에 치중했습니다. 이것은 작품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잘 어울렸습니다. 동시에 마블 코믹스 버전에서 뮤즈를 강렬하게 만든 호러적인 요소는 유지하여 빌런의 핵심을 잘 살리고 있습니다.

MCU의 뮤즈는 여전히 중요한 주제적인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MCU 버전에서 뮤즈의 능력은 크게 변경되었지만, 작품 전체의 서사 속 핵심 역할을 유지하도록 만들었습니다.
마블 코믹스에서 뮤즈는 윌슨 피스크 시장의 통치 시기에 등장하여, 뮤즈의 범죄는 자경단 규제법을 정당화하는 계기가 됩니다. 이 법은 데어데블의 활동을 제한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마찬가지로, MCU에서 뮤즈도 피스크 시장이 반자경 특수부대(Anti-Vigilante Task Force)를 창설하는 명분을 제공합니다. 이것으로 인해 윌슨 피스크는 도시를 더욱 강하게 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법적으로 자신의 적들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확보하게 됩니다.
이러한 설정은 MCU가 뮤즈의 서사적 중요성을 유지하면서도, 뮤즈의 개별적인 특성을 수정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뮤즈의 초능력을 배제한 것은 실사화된 데어데블 시리즈의 기존 분위기와도 일치합니다. 넷플릭스 마블 드라마 <데어데블: 시리즈>는 초능력을 강조하기보다는 윌슨 피스크와 각종 범죄자들과 빌런들을 활용하여 현실적인 위협에 집중해 왔습니다.
더 나아가, 핸드를 등장시켰을 때조차도 원작 코믹스(만화)에서의 악마적 요소를 배제하고 보다 현실적인 닌자 조직으로 묘사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 때문에, 데어데블 세계관은 MCU 내에서도 스트릿 레벨의 현실적인 분위기를 유지하면서도, 신들과 외계인이 존재하는 더 넓은 세계관과 공존할 수 있었습니다.
출처 : 디즈니 플러스(디즈니+, Disney+, Disney Plus), 마블 코믹스, MCU(Marvel Cinematic Universe), 마블 스튜디오, 마블 텔레비전
'드라마 > 드라마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즈니 플러스 마블 드라마 <데어데블: 본 어게인>에서 경찰 '콜 노스'에 대하여] (0) | 2025.03.28 |
---|---|
[디즈니 플러스 마블 드라마 <데어데블: 본 어게인>에 등장한 또 다른 빌런 '신-이터'에 대하여] (0) | 2025.03.27 |
[디즈니 플러스 마블 드라마 <데어데블: 본 어게인>이 드디어 '데어데블'팬들이 원하는 모습으로 드라마가 진행됩니다.] (0) | 2025.03.26 |
[공명, 김민하 주연. 티빙 오리지널 드라마 <내가 죽기 일주일 전> 예고편 및 정보. 공개일은 언제일까?] (2) | 2025.03.25 |
[디즈니 플러스 마블 드라마 <데어데블: 본 어게인>은 '넷플릭스 공개 방식'을 썼어야 했습니다.] (0) | 2025.03.24 |
TWD.Shouting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